[AI소프트웨어] RNN
·
Computer Science/AI소프트웨어
# Encoding과 Decoding 간 관계입력 값으로 몇 개가 들어와도 출력 값으로의 과정 중 Attention(Blending)은 Decoding의 개수와 같다.즉, 몇 단어가 입력되어도 출력할 단어의 개수만큼 블렌딩이 일어난다는 말이다.   # Attention MechanismGlobal, Selective, Dynamic Sequenece Summarization(Blending)기존 RNN의 과정은 이후의 토큰을 이전의 토큰이 알 수 없었다.Attention Mechanism은 어텐션 블록을 만들어서 언제 어느 토큰이든 다른 곳에 붙여 줄 수 있다.따라서 전체 블록 안의 토큰이 글로벌하게 붙을 수 있어서 대량의 언어 뭉치의 경우에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 Softmax 함수소프트맥스..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 도메인 연결 및 정의## candidatekey어느 한 attribute라도 제거하면 unique하게 tuples를 식별할 수 없는 super key  # 데이터베이스 보안 개요안전한 데이터베이스 응용 설계보안(Security)정보가 권한 없는 사용자에게 누출되어서는 안된다무결성(Integrity)권한 있는 사용자에게만 데이터의 수정이 허용된다가용성(Availability)권한 있는 사용자의 접근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보안 정책의 설정 필요DBMS는 데이터 보안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공   # 뷰(View) 개요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매우 강력한 기능의 하나접근 제어를 향상시키며,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함데이터베이스 개념 스키마의 변경을 외부 사용자에게 감추는 역할보안..
[컴퓨터네트워크] 통신
·
Computer Science/컴퓨터네트워크
## 통신의 5요소메시지송신자수신자전송매체프로토콜  ## 인터넷이 구조적으로 되어 있음(레이어링, 엣지코어)우리는 패킷 스위치드 네트워크를 사용 중이다.
[AI소프트웨어] Representation Learning
·
Computer Science/AI소프트웨어
표현학습이란 !!주어진 데이터에 대한 학습을 통해 현상과 그 구체적인 사물에 대한 예측  현재 세상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하고 있다.그 이유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벡터 데이터베이스가 활성화될 것이다.그 이유는 벡터 데이터베이스는 기계가 이해하기에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 Latent VariableDeep Neural Network의 핵심Hidden Variable ## Latent Variable과 인공신경망각 히든 레이어의 엣지 하나가 y = ax + b라는 식 하나로 여길 수 있다멀티레이어 하나가 늘어날 때마다 매우 많은 엣지가 생기고 그에 때라 수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현대에 와서 인공신경망이 가능하기까지의 이유는 ..
[AI소프트웨어] LLM
·
Computer Science/AI소프트웨어
Representation LearningSelf-Supervised LearningLarge-Scale Data & Model 위 3개의 핵심이 모여서 탄생한 것이 오픈AI의 ChatGPT. 이전에 이미 핵심적인 기능들은 존재했음 여기서 데이터 모델이 30 ~ 40 billion 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기계가 스스로 학습, 추론을 시작한다. 언어 모델은 예를 들어, 아이스 + () 의 경우 ()에 해당하는 말이 무엇일까를 생각하는 것이다.보통 아이스크림이나 아이스아메리카노 등을 생각한다. 바로 이것이 언어 모델로서의 추론인 것이다. 하나의 문장을 던져 주면 그 다음 내용이 작성된다.     Before LLMContextAI EngineAnswer After LLMContextAnswer    앞으로는 ..
[데이터베이스] 기본
·
Computer Science/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란?데이터베이스란 전자적으로(electronically) 저장되고 사용되는, 관련 있는(related) 데이터들의 조직화된 집합(organized collection)이라고 한다. 여기서 '관련 있는'은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가 서로 연관성 있는 서비스에 대한 것인지 등을 얘기한다.'조직화된'은 그 일련의 데이터가 잘 정리되어 있어서 알아 보기 쉽게 보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므로 이것을 '전자적으로' 집합한다는 것이다.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s)DBMS란 사용자에게 DB를 정의하고 만들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의미한다.  ## Metadata메타데이터란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거나 기술하는 ..
[운영체제] 프로세스 상태도
·
Computer Science/운영체제
이전 시간에 프로세스는실행 중인 프로그램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프로그램은 프로세스라고 할 수 없다 ..)프로세서에 할당되고 실행될 수 있는 엔티티이라고 공부했다 ..  # 1. Process States Model 프로세스 상태 모델은 컴퓨터 과학에서 프로세스의 생명 주기를 나타내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실행될 때부터 종료될 때까지의 다양한 상태를 설명한다. 대부분의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를 이러한 상태로 관리하며, 각 상태는 특정한 활동이나 이벤트와 연결되어 있다. 흔히 사용되는 프로세스 상태 모델은 다음과 같은 상태를 포함합니다:생성 (Creation):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시스템이 해당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프로세스는 여기서 메모리에 로드되고 초기화된다...
[자료구조] 리스트에 대하여 ..
·
Computer Science/자료구조
# 1. List 리스트는 데이터를 일련의 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자료 구조이다. 각각의 요소(element)는 리스트 내에서 고유한 위치에 할당되며, 이 위치는 요소의 인덱스(index)로 식별된다. 리스트는 동적으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리스트는 배열과 유사하지만, 배열과는 달리 요소들이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리스트는 삽입과 삭제가 배열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리스트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삽입(Insertion):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요소를 추가한다.삭제(Deletion):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를 제거한다.접근(Access): 리스트 내의 특정 위치에 있는 요소에 접근한다.탐색(Se..